157. 거절감을 자주 느끼시나요?............... 거절감 극복하는 방법 6가지.

주말에 친구와의 만남을 지속적으로 생각한다. 대화 가운데 무엇인가, 마음이 불쾌했었다.

왜 그랬을까? 생각해 보며, "내가 예민한 탓이겠지."라고 마음을 돌리려고 하지만, 편하지 않고 그 장면이 뇌리에서 맴돈다. 

“내가 왜 마음이 불편할까?.”

“그 친구가 왜 그렇게 대답을 했지, 이해가 안 가네.”,라고 중얼거리며,

그 장면으로 돌아가 대화와 반응을 떠 올리며, 다시 리허설을 해 본다. 

익숙한 장면이지요? 

우리 인간은 누구든지, 다른 사람과 깊은 대화가 오고 갈 수 있는 관계를 원합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거절감으로 인해 우리 자신을 다른 사람과 사이에서 격리합니다. 결국은 우리 자신이 장벽을 쌓는 것이지요.

왜 거절감을 느낄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몇 가지를 들어보겠습니다. 

  • 자존감 부족으로 다른 사람의 평가나 반응에 민감합니다.

  • 과거의 거절받은 상처를 떠 올리며 거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타인의 비난이나, 오해받을 것 같은 두려움에 미리 거절할 경우도 있습니다.

  • 완벽주의 적 사고로 인해, 거절받는다는 것이 실패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입니다.

거절감은 불편하고 어려운 감정입니다.

그러나, 긍정적으로 거절감을 극복하는 방법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우선, 거절감을 느끼는 자신을 이해하고 사랑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부정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왜 그런 감정이 생기는지에 대해 자세히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자존감 높이기: 거절감은 종종 자존감의 부족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신을 믿어주고 자신의 가치를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강점과, 능력등을  인정하면서, 칭찬하며 격려하고 자존감 높이기 위하여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존감이 높아질수록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반응에 대한 민감도가 줄어들어 거절에 대한 두려움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3. 과거를 놓고 나아가기: 지나간 일에 대한 후회나 미련을 떨쳐내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을 반복적으로 생각하는 만큼, 우리 자신을 괴롭히는 것입니다.

지나간 미련이나 후회를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용서와 이해: 관계를 회복하려면 용서와 이해가 필요합니다. 상대방에게 잘못이 있을 수 있으며, 그들의 입장을 이해하려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5. 솔직하고 개방적인 소통:

먼저 연락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직하게 전달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대체로 상대방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나의 입장만 고집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6. 작은 변화로 시작하기: 

관계 회복은 큰 변화를 기대하기보다는 작은 단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소한 관심을 표현하거나 작은 의사소통의 기회를 찾아보세요. 이러한 작은 변화들이 서로의 마음을 다가가게 하며 관계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거절감을 극복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것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노력하며, 자신의 성장과 관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추천하는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거절감을 극복하고 더 긍정적이고 건강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최근에 거절당했던 느낌의 그 장면으로 돌아가, 적용해 보시고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알려주세요.

Previous
Previous

158.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마인드셋 코칭은 무엇인가?- KGBC 아침마당

Next
Next

156. 코칭이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내 삶의 문제에 도움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