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생각이 바뀌면, 삶이 변합니다.

MissyUSA(미씨)에 게시된 블로그(컬럼) 를 읽기 원하시면 클릭하세요

Sandy Ro Sandy Ro

132. 낮은 자존감에서 회복하는 세가지 방법

왜 행복하지 않은지 아시나요?

또 왜, 괴로운지도 모르고, 그저 살아가시나요?

낮은 자존감은 끊임없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머리가 쉴 틈이 없을 수 도 있습니다.

또한 태어난 성향과 또 어머니와 태 안에서부터의 관계로 시작해서 형제자매들, 어린 시절 친구들, 학교, 사회적인 관계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향에 따라,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사람은 자존감이 더욱 낮을 수 있습니다. 자신을 분석하고, 해부하며, 부족한 것에 포커스 하며 자신을 채찍질하며, 낮은 자존감에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31. 의미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은 제일 행복한 삶.. “먹고살기 바쁜데, 무슨 의미 있는 삶이야?

‘의미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요?

의미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은,

현실의 급급한 문제해결 중심의 삶이 아닌,

자신의 핵심 가치를 알고, 세상에 실현하기 위한 삶을 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체로, “먹고살기 바쁜데, 무슨 의미 있는 삶이야?,라고 말하기 쉽지요.

그러나 인간은 마음속 깊은 곳에,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은 욕망을 다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30. 하루 5분 저널로 성공적이고 번영하는 삶...

대체로, 우리는 너무 바쁜 삶을 살아갑니다.

어떻게 사는지도 모르고 왜 사는지도 모르며 하루가 지나가지요.

그러나, 아침과 저녁 5분으로 하루를 잘 시작하고, 마감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침에 말씀 묵상으로 시작하고 또 기도로 끝내시는 분도 많이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은 줄 압니다.

말씀 묵상으로 시작하는 좋은 습관을 실천하시는 분도, 이 방법을 적용해 보시면 더욱 성공적인 하루를 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원리는 마인드 셋 모델의 기본 원리인 우리의 생각이 감정을 또 감정이 행동을 하게 하므로 삶의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경험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9. 자책감, Spring cleaning 하는 방법 세가지.... " 나는 게으른 사람이야..."

동부나 중부에는 아직 추위가 계속되고 있지만, 제가 사는 캘리포니아에는 폭풍우 치는 겨울이 지나고, 봄기운이 따스하니 걷거나 가벼운 하이킹을 하기 너무 좋은 날씨가 시작되었습니다.

여러분, 따뜻한 봄에 스프링 클리닝하면 생각나는 것 중 하나가 옷장 정리가 아닐까요?

아마도 오랫동안 안 입었으면서도 버리거나, 도네이션을 못한 옷 들이 옷장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요?

“언젠가는 입을 수 있는 날이 올 거야.” 하며, 망설이다가 다시 옷장에 간직하지요.

그렇게 입지 않는 옷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면, 새 옷이나 예쁜 옷이 옷장에 들어갈 자리가 없지 않을까요?

’ 마리에 곤도’라는, 세계 최고의 정리 정돈가의 정리법은 옷장에서 모든 옷과 물건을 다 꺼내어 한 곳에 모은 후에, 옷 하나씩 들고 보면서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 하며, ‘마음을 설레게 하는 것만 옷장에 다시 넣으라’고 말합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8. 죄책감과 후회하는 삶에서 자유하는 법 네 가지..20년 전에 그런 실수를 하지 말았어야 하는데...

과거에 있었던 일에 대한 죄책감을 안 느끼고 사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수 안 하고 사는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또한 실수가 아니더라도, ” 내가 더 잘했어야 하는 데.“라고 후회하며 살아갑니다.

자신만이 실수하고 살은 것처럼 생각하며, 친한 친구에게도 죄책감을 편히 나누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야기를 들은 친구가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염려 때문이기도 하지요.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7. 부러움과 질투에서 자유하는 법 세가지.... 매일 일도 안하고 골프만 치는 친구가....

매일 일도 안하고 골프만 치는 친구를 보며 부러움과 질투심이 생기나요?

대체로 우리는 부러움과 질투의 감정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어린아이로 부터 연세 든 분까지, 인간이라면 모두 수시로 느끼며 산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더구나 소셜미디어로 많은 사람들이 부러움과 질투로 인한 스트레스를 느낀다 합니다.

또 모든 마케팅은, 사람들이 부러움을 느끼게 만들어 물건을 사게 만든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떤 분이 ' 부러움 마케팅'이 현재 세상의 마케팅 테마라고 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6. 인간관계 회복의 세 번째 단계........ `공감법`으로 풍성한 관계로...

지난번 두 번의 칼럼을 통해서,

인간관계 회복의 두 가지 단계를 알려 드렸습니다.

첫 번째: 내가 누구인가를 알고, 나를 수용하고, 사랑하고, 상대방을 나와는 너무도 다르다고 이해하고 사랑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자신과 상대방에 대한 기대치를 내려놓고, 오늘의 모습 그대로 나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수용하기 입니다.

나누고 싶은 세 번째 단계는 공감법입니다.

공감법으로 인간관계 회복을 하며 더욱 행복한 관계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5. 인간관계 회복의 두 번째 단계는?...... "남편은.... 잘 처리해야 해."

인간관계 회복의 첫 번째 단계는 지난번 칼럼과 뉴스레터에서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남편 때문에, 와이프 때문에, 자녀 때문에, 내가 힘들다.”, 또한, 남편이 변하면, 자녀가 달라지면, 내가 행복하리라 하지만,

모든 인간관계의 문제는 우리 자신으로부터, 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디퍼런스’라는 성향검사를 함으로 우리는 각각 너무나도 다르다는 것을 알아 나와 상대방을

이해하며 수용하는 폭이 넓어지는 것이 인간관계 회복의 첫 단계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인간관계 회복의 두 번째 단계에 관해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4. 인간관계 회복의 첫 단계는?-"나는 왜 이럴까?"-

“ 나는 도대체 왜 이럴까?.”

“ 나는 내가 너무 싫어.”

“ 저 사람은 왜 저렇게 행동하는지 알 수가 없어.”,라는 말이 익숙하지 않나요?

제가 이런 말을 하며 살았습니다.

또 많은 클라이언트가 비슷한 경험을 하며 살아오셨습니다.

인간이기에 겪어야 하는 여정일 수도 있습니다.

대체로 우리는 자신을 잘 모릅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왜 이렇게 살고 있는지, 이해를 못 합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3. 셀프케어란?...저는 "No" 소리를 잘못해요.

“ ‘셀프케어’,라는 말 자체가 어쩌면, 너무 이기적이지 아니냐?”, 고 말하는 분이 있는 줄 압니다.

그러나, 정말 그럴까요?

구글에서 ‘셀프케어’ 를 찾아 봤어요.

‘자기 돌봄’이란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스로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을 돌보기 위해 하는 일을 뜻한다.’라고 쓰여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셀프케어란?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며, 건강한 결정을 하고, 더욱 즐겁고 행복한 순간들을 만드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건강하게 자신있게 ‘No’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어쩌면 이기주의가 만연하다 는 말을 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2. 2023 년 `나 다운 삶을 잘 사는 법은?`세 번째:하고 싶은 일을 찾아 미래를 향하여 한걸음씩 나아가는 것

‘2023년 나다운 삶을 잘 사는 법’의 세 가지 방법 중,

두 번째: 생각을 걸르며 감사하면, 행복한 순간이 늘어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체로 우리는 과거의 일어났던 일들로 인해 생긴 분노나 슬픔, 죄책감에서 헤어나지 못합니다.

또 미래에 대한 불안, 공포, 스트레스로 괴로워합니다.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고 화내거나, 나에게 일어난 불행한 일이 그들의 탓이라고 돌립니다.

이 모든 감정과 생각들이 우리의 행복한 순간들을 앗아가는 것입니다.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행복한 순간을 늘려갈 수 있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21. 2023년 `나 다운 삶을 잘 사는 법은?, 두 번째: 생각을 걸러내어 감사하며 행복한 순간을 늘려가는 것

‘2023년 나다운 삶을 잘 사는 법’의 세 가지 방법 중,

두 번째: 생각을 걸르며 감사하면, 행복한 순간이 늘어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체로 우리는 과거의 일어났던 일들로 인해 생긴 분노나 슬픔, 죄책감에서 헤어나지 못합니다.

또 미래에 대한 불안, 공포, 스트레스로 괴로워합니다.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고 화내거나, 나에게 일어난 불행한 일이 그들의 탓이라고 돌립니다.

이 모든 감정과 생각들이 우리의 행복한 순간들을 앗아가는 것입니다.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행복한 순간을 늘려갈 수 있습니다.

1.”내가 하는 생각이 진실인가?”,라고 질문하는 것입니다.

생각을 걸러내는 것은 나를 힘들게 하는 생각들을 한 줄씩 다 종이에 적어보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적기 시작하면, 실타래 같이 엉켜있던 생각들이 머리에서 나오면서 풀어지며 힐링이 시작됩니다.

다음은, 적어놓은 생각들을 한 가지씩 바라보며,

“내가 하는 생각이 진실인가?”라고 질문해 봅니다.

대체로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이 진실이라고 믿습니다. 옳고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생각이 사실이나, 진실이 아닐 수 있는 것입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19. 2023년에 나 다운 삶을 잘 사는 세 가지 방법은?

2022년을 뒤로하며, “ 며칠 후에 다가올 2023년 에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살아온 패턴대로 그대로 살 것인가?

아니면, 어떻게 살아야 성공적인, 의미 있는 삶을 사는 것인가?

나 다운 삶을 잘 살고 있나?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18. 귀한 크리스마스 선물을 나에게.... " 너는 참 소중한 사람이야."

몸과 마음이 바쁜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입니다. 선물을 사고 포장해야 하고, 마음이 급하지만, 무엇보다 가치 있는 중요한 일은 스로우 다운하고

나에게 귀한 선물을 주는 일입니다.

아무도 나에게 줄 수 없는 선물을 이번 크리스마스 에는 여러분이 자신에게 주는 것입니다.

대체로 우리는 가족과 자녀들을 위해 헌신과 희생으로 살아갑니다.

그러다가 어느 때는 누가 좀 알아주었으면, 또 잘했다고 칭찬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들 때가 있지요..

그러나, 아무도 우리에게 우리가 원하는 사랑과 인정을 해 줄 수가 없습니다.

인간은 다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입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17. "그 년은 교활한 년이에요."........ 분노를 정리하고 2023년을 맞으시면 어떨까요?

”1년 동안 분노가 끓어오르는 것을 참고 살았어요. 그 년은 아주 교활한 년이에요. 나를 인격적으로 무시하고 사람들 앞에서는 정직한 척하고 뒤에서는 딴 말 하곤 해요. “

한 분이 코칭 세션 중, 하신 말씀입니다. 여러분 중에도 아마 이런 종류의 분노를 느끼고 사는 분이 있으리라 추측합니다.

또 가끔 비슷한 상황이 일어나면 과거에 정리되지 않아 남아 있던 분노가 건드려져, 두 배로 끓어오르지요.

결국은 이런 경험들이 쌓이며 분노 덩어리가 커져갑니다. 부정적인 기억의 덩어리에 첨가가 되지요.

믿기 힘든 사건과 상황을 경험하신 분 들도 많을 줄 압니다. 그러나 분노 뿐이 아니고, 다른 부정적인 감정도 비슷한 형태로 우리를 옭아매는 족쇄, 또는 우리의 감옥이 됩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16. 2023년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목표 세우기

“삶의 의미를 못 느껴요.”

“할 수 없이 일하고 살아요.

“왜 사는지도 몰라요.”

“현실이 너무 힘들어, 어디로 향해 가는지 모르고 막막해요."

대체로, 우리는 이런 푸념을 하며 살아갑니다.

어쩌면 폭풍우 치는 깜깜한 바다에서 등대도 없이 항해하는 것 같은 삶이 아닌가 싶습니다.

Read More
Sandy Ro Sandy Ro

115. "내가 올해, 잘 못 살은 것 같아."

다가오는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의 들뜬, 행복한 마음은 잠시일 뿐,

동시에, ” 내가 올해, 잘살지 못한 것 같아."라는 후회하는 감정이 따라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믹스된 생각과 감정들이 맴돌지 않나요?

떨어져 살던 가족들이 만나는 기쁨과 파티, 선물, 음식 준비등으로 마음이 바쁜 한편 기쁨, 기대감, 행복보다는 해야 하는 것, 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5만 가지 생각을 하루에 하는 우리 인간의 두뇌는 어메이징 하게 바쁘게 돌아갑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