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완벽하지 않아도 돼요.

 

대체로 우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완벽주의 성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화장을 꼭 해야 밖에 외출을 할 수 있다거나,

벽에 그림을 하나 걸어야 할 때, 필요 이상으로 자로 재고 또다시 재는 경우…

실패할까, 또는 잘못되면 어떻게 하나 두려워 프로젝트를 시작 못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자의 가치 기준과 정도에 따라, 완벽주의는 자신과 타인을 힘들게 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나 주위 사람에 대한 기대치가 높을 수 있어 기대에 도달하지 못하는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실망으로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모든 것이 완벽하게 준비되어야 무슨 일을 착수할 수 있습니다.

일단 시작하면 완벽하게 완성해야 마음이 편합니다.

완벽 주위와 반대인 성향은, 무슨 일을 시작은 잘하지만, 끝까지 완주를 못 하고 중도에 그만두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융통성 있게, 매사에 쉽게 적응을 잘하고 흐르는 대로 살지만, 일의 결과나 성취도는 낮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도 또 그렇지 않은 사람도 다 최선을 다하고 사는 것입니다.

그러나,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은, 자신이 미운 오리 새끼 같이 느끼며 괴로워하는 순간 들도 경험하는 것입니다.

완벽주의 성향이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완벽주의 장점은 동기부여가 확실하고 타인보다 양심적으로 행동합니다.

완벽주의로 인해 팀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완벽주의가 조직에 더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것입니다.

한 예로,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과 또 지도력과 추진력이 있는 사람이 한 팀에서 일하는 경우에,

두 사람의 다른 성향이 협력하여 계획대로, 높은 기준으로 일을 끝낼 수 있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의 성향이 다르기에 우리는 다른 점을 이해하고, 수용하고 강점은 키우고, 또 나의 약점은 보완하며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가정, 직장, 사회, 교회 등 모든 조직 안에서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고 사랑하며 살아가는 것이 최선의 삶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론은 완벽주의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다 있는 성향이지만 그로 인해 자신이나 타인에게 스트레스가 심하다면, 다음 네 가지 방법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a) 자신의 기준을 조금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태어난 성향상 완벽주의 성향이 강하면, A+ 가 아니어도 된다고 자신을 다독거려 줄 필요가 있습니다.

 b) 결과보다는 과정에 포커스를 맞추어 자신을 인정하고 칭찬합니다.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도전을 한 것에 대해 칭찬해야 합니다.

 c) 지속해서 생각을 돌아보며, 셀프 코칭하며, 자신을 이해하고 사랑해야 합니다.

 d) 타인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이해하고 수용하며 사랑합니다. 타인과의 관계를 잘 이어 갈 수 있게 됩니다.

완벽주의자들은 대부분 의욕적이며 타인보다 능력이 뛰어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향이 우리들을 사회적으로 고립되게 하기도 합니다.

이유는 대체로 사람들은 유능하고 뛰어난 것보다 사회적 관계가 순탄하고 여유 있는 사람과 관계를 이어가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완벽주의의 장점이 올바로 쓰이지 못하고, 자신이나 타인에게 스트레스가 되고 조직에서 고립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도움을 받으실 필요가 있습니다.

디퍼런스 성향 검사를 하여, 완벽주의 성향의 정도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또 마인드 셋 코칭으로 생각을 바꾸어, 자신과 타인에게 주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이 편안해지고 행복해진 클라이언트들이 많습니다.

저 자신이 완벽주의 성향이 강하게 태어나서 저와 타인을 힘들게 했지만, 디퍼런스 성향 검사를 하여 나 자신을 알고, 마인드 셋 코칭으로 완벽주의에서 벗어나 더욱 자유롭고 자신 있게 살고 있습니다.

제가 여러분을 더욱 자유롭고 자신 있게 살 수 있도록 도와 드릴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714-681-2290으로 연락하시거나, 

웹주소: sandyro.com/home/ko 에 가시면 무료 디스커버리 세션 스케줄 하실 수 있습니다.

연락주세요.

Previous
Previous

108. 야단코치와 파이팅 코치?

Next
Next

104. “나는 아들한테 배신감을 느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