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 “완벽주의 때문에 내가 이렇게 힘든지 몰랐어요. 하루라도 좀 더 편하게 살고 싶어요.”

“완벽주의 때문에 내가 이렇게 힘든지 몰랐어요. 하루라도 좀 더 편하게 살고 싶어요.”

많은 클라이언트들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대체로, 헌신적이며, 분석적이며 책임감이 많고 충실하고 사려 깊고 민감한 분이 솔직하고 정직하며 정확하며 논리적이고 

자신이나 상대방에 대한 기대치가 높으신 분들이  완벽주위에 시달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또한 자신이 완벽주의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사실도 모르고, 자신을 잘못된 사람이라고 자책을 합니다.

그러면 완벽주의란 어떤가요?

완벽주의성향을 가진 사람은 자기에게 매우 높은 기준을 가지고, 여러 가지 면에서 완벽한 성과를 기대하며, 자기비판적인 태도를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 능력과 성과에 대해 항상 불만족을 느끼며, 작은 실수나 부족한 성과에도 자기 비난을 하고 자책합니다.

완벽한 성과를 추구하면서 결과가 좋지 않을 가능성에 대한 불안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 대해서도 과도한 기대와 비판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인관계가 불편해질 수 있으며, 관계가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완벽주의는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세부사항에 집중하거나 완벽한 결과를 얻기 위해 지나치게 과도한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로 업무나 학업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마인드셋 코치로서 완벽주의에 시달리는 분들을 코칭하여 클라이언트들의 삶이 변하고 있습니다.

저 자신도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 태어난 지도 모르고, 오랜 세월을 갈등을 많이 겪고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많은 변화를 하며, 더욱 자유롭게, 편안하게 살고 있습니다.

여러분 중 위에 서술한  완벽주의 성향을 조금이라도 경험하시는 분이면, 

다음 5 가지 방법으로 완벽주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1. 성향검사를 하므로, 태어난 성향을 알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하고, 완벽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사람은 각각 모두 다르게 다른 성향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것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회복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1. 목표 설정과 기대 관리: 완벽주의자는 자신에게 과도한 기대를 갖고 너무 완벽한 결과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목표를 설정할 때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고, 완벽한 결과에 대한 강박을 허물고 실패와 실수를 수용할 수 있다는 자세를 가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2. 자기 방어적인 생각과 행동에 대한 인식: 완벽주의자는 자기 방어적인 생각과 행동을 통해 완벽함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자기 방어적인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되며, 실패와 실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믿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실험과 경험: 완벽주의자는 실패가 두려워 새로운 경험을 시도하기보다 안전한 영역에 머물고자 합니다. 완벽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도전하고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완벽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도전하고 실패와 실수를 경험하면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4. 긍정적인 자기 대화와 사랑: 완벽주의자는 자기에게 부정적으로 말하고 자신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자기 대화를  연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아마도 이론적으로는 이해가 되고, ” 아 그렇구나.”,라고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태어난 성향은 잘 바뀌지가 않고,  또 생각하고 살아온 패턴대로 익숙해 있기에, 완벽주의에서 벗어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제가 확실히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디퍼런스’ 라는 성향 검사를 하여 자신의 태어난 성향을 아는 것으로 시작하여,  완벽 주위에서 벗어나며 더욱 자유하고 살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714-681-2290 으로 연락 주시거나, 클릭하셔서 무료디스커버리 세션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Previous
Previous

150. 엄마의 칭찬 한 마디가 자녀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준다면.... 나는 과연 칭찬을 잘하고 있나?

Next
Next

148. 돌아가신 남편에 대한 분노로 장례식에서 울음이 안나왔어요...80살에도 코칭받는 것이 좋을까요?